Lưu trữ Blog

Thứ Sáu, 20 tháng 6, 2025

한옥에 숨겨진 상징적 의미에 대한 고찰 Khảo sát ý nghĩa biểu tượng ẩn giấu trong Hanok

 

ĐẠI HỌC QUỐC GIA TP. HỒ CHÍ MINH

TRƯỜNG ĐẠI HỌC KHOA HỌC XÃ HỘI VÀ NHÂN VĂN

TIỂU LUẬN CUỐI KỲ MÔN LỊCH SỬ PHONG CÁCH HÀN QUỐC

CHUYÊN NGÀNH: HÀN QUỐC HỌC

Logo trường Đại học Khoa học Xã hội & Nhân văn – Đại học ...

 

 

 

 

한옥에 숨겨진 상징적 의미에 대한 고찰

Khảo sát ý nghĩa biểu tượng ẩn giấu trong Hanok

 

 

 

Người hướng dẫn khoa học: TS. Cho Myeong Sook

Học viên: Nguyễn Lan Anh (응우엔 란아인)

MSHV: 22831061401

 

 

 

Thành phố Hồ Chí Minh, ngày 22/11/2022

목자- MỤC LỤC

I.            서론……………………………………………………………………3

II.          본론……………………………………………………………………3

2.1. 한옥에 대한 개요…………………………………………………….3

2.2. 한옥의 구성 및 특성…………………………………………………4

a.    한옥의 건축형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4

b.   한옥의 공간 배치 및 요소 …………………………………………4

c.   한옥의 기본 재료 …………………………………………………..7

2.3. 한옥에 숨겨진 상징적 의미…………………………………………7

a.     풍수지리설의 집과 위치및 좌향 선택에 숨겨진 의미………..7

b.    한옥의 공간적 구성은 유교적 관념에 따라 배치에 숨겨진 의미.8

c.    한옥 장식의 음양오행설에 숨겨진 의미………………………..9

d.    한옥의 지붕, 마당, 마루, 올돌난방 아래 숨겨진 아름다움….11

III.        결론…………………………………………………………………..15

Tài liệu tham khảo ……………………………………………………….15

 

 

 

 

 

 

 

 

 

I.               서론

어떤 나라의 대표적인 문화라고 하면 한 민족의 정체성을 가장 잘 반영해 주는 요인은 문자, 주이다. 이에 따라 한국에 이야기하면, 한글, 김치, 한복을 언급할 뿐만 아니라  한반도에  사는 민간의 전통건축으로  지는 주택양식적인 한옥을 바로  부르는다.한옥은 사는 곳일 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정신적인 삶을 반영하는 곳이기도 한다. 그러므로 한옥에 대해 고출하면 한옥에 숨겨진 멋 및 가치를 알아볼 수 있는다.

그러므로 상징적이라는  뭐인가?

상징적이라는 상징【象徵】와 []글자로 결합한다. 상징이라는 [명사]추상적인 사물이나 개념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비둘기는 평화의 상징이.

그리고  한옥에 숨겨진 상징성은 무엇일까요?

한옥에 숨겨진 상징적이라는 추상적인 사물이나 개념을 구체적인 한옥으로 나타낸 것이지만 그 것은 어떤 의미 다른 사람이 모르게 감춘다.

II.             본론

2.1.        한옥에 대한 개요

한옥은 한국 고유의 건축 형식으로 지은  전통주택양식인다. 한옥의 기원은 기원전 6,000년경 신석기시대 전기의 움집이며 조선시대 후기에  한국이 매매하러 개항한 후에 서양의 근대건축양식(양옥)이 한국에 들어오면서 새로운 건축양식과 구별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신조어였다. 그러므로 한옥이라도  조선집이라고 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1907년부터 문헌에 등장하기 시작하는 단어 한옥’은 한자어 ‘한()’+()’을 합하여 만든 말이며 주거용 살림집을 의미하거나  한국전통건축 전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1975년에는  국어사전에 ‘한옥’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하였다. 『삼성 새우리말 큰 사전』(삼성출판사).

2.2.한옥의 구성 및 특성

a. 한옥의 건축형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

자연적 환경  (지리·기후. 지질) 및 인문적  ( 역사·사회·종교. 사고) 요인이라는  한국인의 주택건축 문화를 지배하여 중요한 두 가지이다.

지리적으로 한국의 지형은 국토의 75%가 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봉우리가 둥글고 경사가 완만한 산이 많다. 자연지형은 작지만 아름다운 산과 맑은 강이 많다.

이러한 자연적 특성은   한국의 한옥 건축의 저고도 변화에 따라 배치와 건설 현장의 방향을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산의 완만한 지형은 자연적으로 지붕의 건축양식에 반영되어 있고 그리고 지붕의 곡선이 주요 설계 요소가 되었.

기후상 한국은 대륙과 해양의 중간 지역에 속한다. 남쪽은 따뜻한 기후, 북쪽은 추운 기후로 온돌 난방과 마루 구조물이 형성되어 있다.

한국 문화도 인문학, 한국인의 성격을 바탕으로 발전했다. 동양 문화의 초석을 다져 중국 고대 문화를 흡수하고 불교 문화로 성장한 이를 추출해 통합해 한민족 고유의 문화로 발전시켰다. 그러므로, 음양오행설, 풍수지리설, 천문사상, 유교, 노교, 한국인의 사고방식은 한국인의 건축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재료 선택, 색상, 공간 배치 등을 통해 표현된다.

b. 한옥의 공간 배치 및 요소

한옥의 공간구조는 공간배치와 기능에 따라 구분된다. 예를 들어, 의사소통 공간에는 마루(()와 마당()이라는 두 가지 구조가 있다. 안채(), 사랑채, 행랑채(行郞)는 역할, 신분, 가족, 사회적 지위에 따라 구조적으로 구분된다. ()에 구별 관념의 하여 남녀칠세부동석와 부부별침으로 나누었다.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공간에 따르면 정침 (正寢 )하고 사당(가묘)가 있었다.  그리고 유학자들도 원하는 집으로 나누면 ' Choreojip초려집'이라고 한다. 또한 지역마다 기후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한옥의 공간 배치도 다양하고 나름대로의 배치가 있다.

예를 들어 추운 북부는 한옥이 네모꼴- ‘자의 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유리문을 닫아 바람을 막고 따뜻하게 지낸다. 중부지방은 한옥이 기역 자의 형과 니은 자의 형으로 배열되어 있.  남쪽은 통풍에 중점을 두어서 한옥은 직선,’ 자의 형으로 배치되었다. 그리고 섬과 해안은 바람을 피하고 눈을 피하기 위해 한옥의 구조가 더 독특하다.

지역별 주거형태의 차이

한옥은 지역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인 한옥에는 대문, 마당, 부엌, 사랑방, 안방, 마루, 외양간, 화장실, 장독대 등이 갖추어져 있다.

전통한옥의 구조도 시대, 지역, 계층에 따라 변화했고 전쟁으로 파괴되었으니까 여기서는 조선시대 양반층의 한옥의 전형적인 구조를 살펴볼 수 있을 뿐이다.

조선시대 한옥의 모습을 보면, 한옥은 다음과 같은 주요 공간으로 나뉜. 안채, 사라채, 해랑채와 사당이 있었다. 그리고 모두 공간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면 공간들의 기능은 무엇일까요?

안채는 여주인을 위한 집의 중심 공간이다. 이곳은 한인 가족의 신앙생활과 일상 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이기도 한다. 안채는 부엌ㆍ안방ㆍ웃방ㆍ대청ㆍ건넌방 등으로 구성된다.

사랑채는 사랑방, 사랑대청(마루), 누마루 등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부엌이 부가되기도 한다. 사랑채의 기본 기능은 남자 주인이 거처하며, 손님을 맞는 곳이며 마을사람들이 모임 을 갖는 장소로도 쓰인다. 또한, 이곳은 남자 주인이 한옥 전체를 둘러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행랑채라는 하인들이 기거하거나 곡식 등을 저장해두는 창고로서 쓰였던 공간이 따로 있었다. 바깥행랑채는 대문 간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여 이들 공간들은 커다란 한 울타리 안에 작은 담장을 세웠다.

사당채는 조상숭배를 지내러 의례 공간을 마련한 곳이다. 여기는  대문으로부터 가장 안쪽 안채의 안대청 뒤쪽이나 사랑채의 뒤쪽 제일 높은  공간이었다..

또한 안채, 사랑채, 해랑채, 사당 공간 사이에는 다양한마당이 연결되어 있다. 그 중에 안마당은 안채와 대응하며, 사랑마당은 사랑채, 행랑마당은 행랑채와 대응한다. 이 밖에도 여러 마당이 배치될 수 있는데, 그것이 대응하는 채의 명칭을 따서 문간마당ㆍ별당마당 등으로 불린다. 이 같이 다양한 마당은 그것이 놓인 위치와 성격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으로 구성되며 건축적 처리도 달라진다.

그럼 왜 마당을 지었을까요?

전통 한옥의 구조에서 마당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첫째, 마당은 한옥을 즐기거나 아름답게 꾸밀 있는 공간이다. 둘째, 마당은 파티, 행사, 모임을 위한 공간이다. 마지막으로, 마당은 휴식을 취할 있는 공간이자 나무를 심을 있는 공간입니다.

요컨, 한국 건축은 사람을 기본적인 척도로 하여 적당한 크기로 건축하였다. 한국의 건축은 지나치게 크지 않고 작지도 않아 적당한 크기이기 때문에 사람의 신체와 적절히 어울리는 크기로 자연스럽고 친근감을 준다.

c.                한옥의 기본 재료

한옥을 관찰하다 보면 한국 전통 건축에 사용된 재료는 나무, , 벽돌, 기와, 진흙, 석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인의 탄생부터 성장, 소멸까지 생애를 아우르는 상징인 소나무도 한옥 건축에 널리 쓰이고 있다. 이 외에도 느티나무와 덤불삼엽초 등 다양한 나무들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계단과 난간(欄干), , 울타리를 만들기 위해 화강암 재료가 흔하고 교묘하게 사용된다.

2.3.           한옥에 숨겨진 상징적 의미

a.    풍수지리설의 집과 위치및 좌향 선택에 숨겨진 의미

조선시대의 대부분의 전통가옥으로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원칙을 지키는 것이 특징이다. , 이 원칙은 뒤로는 을 등지고, 앞으로는 을 마주하며 남쪽으로 짓는 것을 이상적으로 보는 풍수지리 사상을 반영한다.

한옥은 바람의 통로와 물의 위치, 산과 평야와의 거리와 방향, 즉 풍수지리 이론에 근거하며 집의 목적과 거주자의 성향에 따라 매우 다르게 짓는 건축물이기도 하다. 

그리고 산의 모양이나 물의 모양에 따라 세부적으로 조율하는데, 이는 건축주의 사주팔자나 직업, 지병 등에 따라 건축가가 임의로 조정하기도 한다.

그리고 동아시아 문화권에 따르땅의 생명력이 많이 모인 축복 받은 땅을 명당이라고 한다.

그래서, 터 잡기’로 시작되고, 그 다음에는 건물이 앉는 방향, 즉 ‘좌향坐向’을 정하는 일로 이어진다.

이것은 한국인들의 전통 관념에서 자연과 인간 사이의 가까운 관계를 확립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정신을 나타낸다.

왜냐하면 집의 입지조건이 사람의 삶과 직접적으로 영향관계를 맺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인간의 삶이 집자리를 통해 자연환경과 생명적 일체감을 조성할 있어야 한다는 신념 때문이기도 하였다.

b.      한옥의 공간적 구성은 유교적 관념에 따라 배치에 숨겨진 의미

한옥은 여성공간인 안채와 남성공간인 사랑채를 중심으로 행랑·사당·별당 등 여러 채()로 구성된 복합체다. 첫째, 남녀유별 하여 생활공간을 여자들의 안채하고 아버지와 아들이 기거하는 사랑채로 구분되었는다.  둘째, 장유유서에 따라 사랑채는 아버지가 사용하는 큰 사랑, 아들이 사용하는 작은 사랑으로 구분되었는다.

안채와 사랑채를 별동으로 구성할 경우, 그 사이에 벽이나 담장을 설치해 시선을 차단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필요에 따라 서로 긴밀히 연결될 수 있는 건축적 처리를 한다.

사랑채는 가장이 기거하며 손님을 맞는 곳으로 가장 화려하고 권위있게 표현되었다.

또한 위계에 따라 하인들이 거주하는 행랑채를 집 바깥쪽에 구선되었다

그렇게 지어졌을까요? 양반의 집을 살펴볼 , 하인이 거주하는 행랑채 마당에서 양반의 공간인 사랑채를 바라보면 하인의 시선은 사랑채 누마루에 닿게 되는데요. 그래서 하인이 고개를 들지 않는 이상 하인은 주인의 발 정도만 볼 수 있게되는 것이랍니다.  높은 곳에 있는 주인의 위상은 얕보는 시선으로 하찮아 보인다. 이러한 관계는 한옥을 지을 때 의도적으로 양반과 하인이 거주하는 공간에 높이차를 두었기 표현되었다.

한편, 유교건축에 있어 질서의 미는 축선 사용과 균형에 있다. 특히, 안정된 · 대칭 균형기법은 정적이고 장중한 유교적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한옥은 신비감이나 뛰어나게 상징적인 건축 요소는 지니고 있지 않다. 그 대신에 ‘인’과 ‘예’라는 기본이념으로 백성을 교화하는 데 기본 목표가 있었다. 한옥의 유교문화는 절제, 간결, 소박함의 문화로 이해할 수 있다.

C.       한옥 장식의 음양오행설에 숨겨진 의미

한옥은 장식 건축에서 음양오행의 상징으로 융합한다. 건축의 색채사용에 있어 기본원리로 작용하였는데 동방을 뜻하는 청(), 서방의 백(), 남방의 주(), 북방의 현(), 중앙의 황(), 이상의 다섯 색이 단청의 기본색으로 사용되었다. 또 음양오행론은 자연환경과 건축의 형태 해석에도 깊이 작용하였다. 다양한 색깔의 장식과 조화를 이루어 한국인의 언제 어디서나 평화를 기원하는 기도를 담고 있습니다.

한옥은 장식 건축에서 음양오행의 상징으로 융합한다. 건축의 색채사용에 있어 기본원리로 작용하였는데 동방을 뜻하는 청(), 서방의 백(), 남방의 주(), 북방의 현(), 중앙의 황(), 이상의 다섯 색이 단청의 기본색으로 사용되었다. 또 음양오행론은 자연환경과 건축의 형태 해석에도 깊이 작용하였다. 다양한 색깔의 장식과 조화를 이루어 한국인의 언제 어디서나 평화를 기원하는 기도를 담고 있습니다.

Ảnh có chứa văn bản, đầy màu sắc

Mô tả được tạo tự động

경복궁 근정전 천

http://hanoknews.kr/news/view.php?no=1057&ckattempt=1

또한 음양철학과 밀접하게 관련된 남녀 공간 간의 구별이 있다. 사랑채에는 단면이 원형인 굴도리를 썼고 안채에는 단면이 네모진 납도리를 썼다. 원형은 (), 방형(方形) ()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음양론 건축의 활용은 한옥이 항상 균형 잡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도울 것이다.

한옥의 건축 재료는 주로 소나무이다. 소나무는 한국에서 흔한 나무이지만 의미가 깊다. 소나무는 한국 사람들의 마음에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소나무는 인간의 수명과 미덕을 상징하다. 한국에서는 소나무가 존경스럽고 강하고 지혜로운 생명체로 여겨지는다.

또한, 한옥의 건축에는 유교나 신유교의 정신을 대표하는 삼강오륜의 사상이 숨겨 있다.

Kết quả hình ảnh cho Làng dân gian Hahoehttps://tinhhoa.us/cay-thong-loai-cay-thuong-xanh-vi-dai-voi-nhieu-y-nghia-van-hoa.html

d.    한옥의 지붕, 마당, 마루, 올돌난방 아래 숨겨진 아름다움

한옥의 아름다움은 화려하지 않고 단순한 정적에 있다. 특히 자연과의 조화다. 이어 아름다움은 한옥의 지붕, 마당, 마루, 그리고 올돌 난방에 표현된

첫째, 한옥 지붕은 늘 하늘을 향해 열려 있어 함께 호흡하고 싶은 욕망을 표현하다. 이 독특한 점한옥의 지붕이 한옥의 인상을 결정하는데, 지붕의 아름다움은 날렵한 곡선에서 비롯된다.둘째, 호크 지붕은 이전 한국인의 과학적 지혜를 나타내는 상징이기도 했다.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는 지리적 특징에 따라 태양빛이 지상으로 내려오는 각도는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여름에는 햇빛이 거의 수직으로 비치는 반면 겨울에는 낮은 구석에 부드럽게 비춘다. 그러므로 한옥의 지붕과 처마는 이러한 계절적 특성에 맞게 만들어졌다.

 

 

소통을 위한 공간, ‘마당’ – ‘Madang’- Mt không gian đ giao tiếp

마당은 한옥의 가장 부분을 차지하는 공간이다. 그곳은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기 위해 하얀 공간의 아름다움을 선사하는 곳이었다. 동시에 한국인의 일상과 생활상을 반영하는 장소이다. 마당 구장은 개의 구역으로 나뉘는데, 대표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다. 안마당(안뜰)은 작업 공간이자, 손님 접대와 의례 장소이었고 뒷마당(뒷뜰)은 가사작업과 여성들의 휴식 공간에 대표이었다.

또한 우리가 모르는 마당에는 과학이 숨어 있다. 한국인들은 햇빛을 반사하고 한옥의 내부를 밝히는 그들의 마당에 백사장을 두었다고 한다.

안마당은 구심적이고 내향적이며 수렴되는 성격을 갖는 반면, 사랑마당은 원심적이고 외향적이며 발산되는 성격을 갖는다. 사랑마당은 남자 주인이 집안사람들을 통솔하고 마을 사람들과 교류하는 장소로도 활용되므로 마을을 향하여 열리는 구성을 하는 경우가 많다.

전면이 개방된 대청과 안마당은 제사 등의 의식(儀式)을 행할 때 서로 연결되어 같은 활동에 사용된다. 이같이 한옥에서는 가변성 있게 구성된 벽체 또는 개구부를 통해 실내외 공간이 긴밀히 연계되어 사용됨으로써 주거 공간의 이용에 융통성과 확장성이 있다.

주택의 의미가 감긴 마루와 오돌

마루 또한 한옥의 전통 구조 중 하나로, 시작은 남부지역에서 발달 했습니다.  생활문화가 변하면서 마루공간은 거실공간으로 변하기 때문이었다.  한옥에 있어서 마루는 단지 나무판으로 된 물체를 뜻하기보다는 좀 더 풍부하고 심오한 의미를 담고 있다. 마루공간은 나무로 짜여지고 외부로 열려 있었는데, 문명의 요구에 맞게 벽이나 문이 달리고 바닥에는 보일러를 넣은 것이다. 마루는 가장 높은 자리를 의미하는 말이다. 산꼭대기를 ‘산마루’라고 하고 지붕의 제일 높은 곳을 ‘용마루’라고 한다. ‘마루’의 어원이 되는 알타이어 ‘말’은 꼭대기와 종주宗主의 뜻을 지닌 우리의 옛말로서, 달리는 말(), (), 마을()과 관련 있는 뜻이었다. 즉 일()과 만물萬物의 으뜸자리라는 뜻이다.

실제로 한옥에 사는 한 집안의 마루는 가족들의 모든 일이 벌어지고 중재되는 중심공간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마루에서는 집안의 가장 중요한 행사인 제례의식이 행해지거나 중요한 손님을 맞이하는 신성한 장소로 사용된다.

04.마루는집안의 가장 중요한 행사인 제례의식이 행해지는등 신성한장소로 사용된다. ⓒ이미지투데이 05.해저만회고택의 사랑채 툇마루에서 본 누마루. 툇마루와 누마루의 고즈넉한 짜임새가 아름답다. ⓒ문화재청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23224&bbsId=BBSMSTR_1008#:~:text=%EC%A6%89%20%EC%9D%BC(%E4%BA%8B)%EA%B3%BC%20%EB%A7%8C%EB%AC%BC,'%EB%A7%88%EB%A3%A8'%EB%9D%BC%EA%B3%A0%20%EB%B6%88%EB%A6%AC%EA%B2%8C%20%EB%90%9C%EB%8B%A4.

한옥의 중심공간은 마루이었다.

마루가 여름에 냉방의 역할을 한다면 온돌은 한국의 정신생활과 문화에서 특별한 역할을 하는데, 특히 겨울에는 난방이 된다. 온돌은 단 하나의 불꽃으로 요리와 난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세계에서 유일한 독특한 문화이다. 그리고 여기 한옥에 숨어있는 것은 단지 공간을 따뜻하게 하고 난방을 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 구성원들을 연결시켜주는 것입니다. ( 추운 겨울에는  따뜻한 한옥에서 온 가족이 함께 모여 고구마나 옥수수, 군밤을 먹는 장면을 상상해보세요!)

생애주기(life cycle) 주거공간에 숨겨진 상징의 의미

마지막으로 전통 한옥에 숨겨진 인간적 가치는 사람의 일생이다. 한국의 기성세대에게 한옥 공간은 삶의 과도기적 사건이었다. 한옥은 그들이 태어나고 자라며 세상을 떠나기 전에 머무는 곳이다.  예를 들어,   남자의 경우:  안방건넌방작은 사랑방 사랑방

안방에서 태어나서 건넌방에서 소년시절을 보낸다. 장성해서 결혼을 하면 작은 사랑방에 거처하며 부친이 돌아가시고 가장이 되면 사랑방으로 옮겨 기거한다.

여자의 경우:  안방건넌방(시댁의) 건넌방 안방 건넌방

안방에서 태어나서 건넌방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다. 결혼을 하면 집을 떠나 시댁의 건넌방에 거처를 정한다. 시어머니가 돌아가시거나 생활의 일선에서 물러나면 집의 안방을 차지한다. 이때 장독대 재산의 관리권을 행사하게 되며 안주인이 된다. 그리고 집의 생활을 관리할 기력을 잃으면 며느리에게 안방을 내주고 다시 건넌방으로 거처를 옮긴다. 이와 같이 한옥은 전통적인 생활의 규범과 논리에 대응하는 공간체계였다.

 

 

III.       결론

한옥은 한국인의 자랑스러운 전통건축물이다. 한옥의 각 요소에는 한민족 고유의 이야기와 의미, 아름다움이 담겨 있다. 전체적으로 상징적 의미는 자연과의 특유의 조화를 강조하고, 가족주의와 집단주의를 견지하며, 모이는 분위기, 상하의 질서를 존중하고, 출세하고자 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특히 심플한 장식으로 유교적 미적 전통이 스며들어 만물에 가깝다. 한옥의 속에는  사람을 중심 주제로 삼고 항상 주변의 자연을 향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시간을 내어 이 글을 쓰다 보면 한국의 한옥마을에 발을 들이고 직접 만져보고 싶다는 상상을 수없이 하게 된다. 사실 글을 쓸수록 늘 부족함을 느끼며.. 한옥이 가진 의미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 아쉽네요./.

Tài liu tham kho

1.   Chui bài ging ca TS. Cho Myeong Sook v Lch s phong cách đi sng Hàn Quc.

2.   한국문화사 33 삶과 생명의 공간, 집의 문화.

3.   https://m.blog.naver.com/bukchonmaru1/10180322928

4.   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view.do?levelId=km_033_0050_0010_0020

5.   https://hanok.seoul.go.kr/front/kor/info/infoHanok.do?tab=1

6.   https://www.hanokdb.kr/theology/sub_01

 

 

 

 

 

 

 

 

 

 

 

 

Không có nhận xét nào:

Đăng nhận xét